728x90

  저번 포스팅에서 이벤트 로그로부터 도출한 social network인 handover of work social network에 대해 알아보았다. 이번에는 또 다른 이벤트 로그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social network인 working-together social network에 대해 알아보겠다.

Working-together social network란?

 Working-together social network란, 구성원들 중 누가 일을 함께 하는지를 표시한 social network이다. 여기서 일을 함께 한다는 것은 하나의 같은 케이스 안에서 일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. 예를 들어, 다음과 같은 이벤트 로그가 있다고 하자.

이 이벤트 로그에서, 앞의 trace를 case 1이라고 하고 뒤 trace를 case 2라고 하자. 그러면 case 1에서는 Sara, Edu, Felix, Alex가 일을 함께 한 것(working-together)이고 case 2에서는 Sara, Edu가 일을 함께 한 것이 된다. 

Working-together social network를 만드는 법

1. Resource - Resource matrix를 만든다.

 다음과 같은 예시 이벤트 로그가 있다고 하자. 

 

예시 이벤트 로그 L

 이 이벤트 로그에서 우리는 각 working-together가 몇 번 일어났는지를 세어 이를 바탕으로 Resource-Resource matrix를 만들 수 있다. 위에서 설명했듯이, 맨 앞 trace에서는 {Sara, Edu, Felix}가, 그 다음 trace에서는 {Sara, Edu}가 working-together한 것이 된다. 이를 바탕으로 하여 matrix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.

 

유의사항

1. 자기 자신이 한 케이스 내에서 여러 번 나왔다고 해서 이를 자신과 working-together한다고 표현하지는 않는다. 

2. (Edu, Alex)의 값과 (Alex, Edu)의 값은 같다. (서로 순서가 바뀌어도 working-togehter하는 횟수의 값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.)

 

  Alex Edu Felix Rene Sara
Alex 0 2 0 2 1
Edu 2 0 1 2 3
Felix 0 1 0 0 2
Rene 2 2 0 0 1
Sara 1 3 2 1 0

 

여기에서 우리는 한 case 당 working-together가 몇 번 일어났는지를 표시하기를 원하기 때문에, 모든 값을 case의 개수(5)로 나누어 준다.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.

 

  Alex Edu Felix Rene Sara
Alex 0 0.4 0 0.4 0.2
Edu 0.4 0 0.2 0.4 0.6
Felix 0 0.2 0 0 0.4
Rene 0.4 0.4 0 0 0.2
Sara 0.2 0.6 0.4 0.2 0

 

2. Working-together social network를 그린다.

 이제 위 matrix를 바탕으로 social network를 그려주면 된다. 이 때, working-together social network의 arc는 direction을 가지지 않는다. (함께 일한다는 사실만 표현하기 때문에 방향성이 없다.)

 

결과 working-together social network

  이번 포스팅에서는 working-together social network에 대해 알아 보았다. 원하는 분석 방향에 따라 적절한 social network를 이용한다면 더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. 

300x250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